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830

올웨더 이야기 - 14. 채권의 maturity, duration, coupon 이 무엇인지. 금리에 따라 채권의 가격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인지(Feat. 김단테) 주식 투자를 시작하게 되면 크게 관심이 없더라도 반드시 '채권'이라는 용어를 듣게 될 것이다. 보통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조절해가며 리스크를 관리하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주식과 채권은 때려야 땔 수 없는 단짝과 같은 존재랄까.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 주식만큼이나 많은 공부가 필요한 자산군이 '채권'인 것 같다. 채권은 쉽게 얘기하면 정부나 기업에서 발행하는 차용증(빚)이다. 정부, 회사, 은행들은 이러한 채권 발행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들은 채권을 매수함으로써 원금과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 정도만 알면 너무 간단해 보이는데 사실 어떤 분야든 깊게 들어가면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김단테님의 '(이 질문들에 답변하지 못하면)올웨더 절대로 하지말라'에 나오는 14번 질문에.. 2020. 6. 23.
부동산 이야기 - 집주인은 물론 임차인도 알아야할 임대차 3법 전월세 상한 계산하기 임대차 3법이 발표됨에 따라 임대사업자 또는 세입자들이 새로 알아야할 정보들이 생겼다. 지금 당장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2020년 12월까지 부동산 거래 신고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며 1년간 유예기간을 둔다고 한다. 임대차 3법이 일정대로 적용된다고하면 2021년 하반기쯤이 되면 임대차 3법이 실제로 적용이 된다고 보면 되겠다. 임대차 3법은 크게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전월세 신고제 3가지로 나눠진다. 그 중에서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 신고제는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다만 전월세 상한제의 경우 잘못이해하여 전세 또는 월세를 잘못 설정하게 되는 경우 위반건수에 따라 500만원에서 최대 3,000만원까지 과태료가 부과될수 있으며, 아래의 세제혜택이 배재될 수 있다... 2020. 6. 22.
2023년 모든 주식에 양도세 부과(상세 분석 및 장단점)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수익률도 중요하겠지만 잃지 않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워렌 버핏은 주식투자 성공을 위한 규칙으로 "1. 돈을 잃지마라. 2. 규칙1을 결코 잊지말라"고 하셨다. 잃지 않는 방법중에 비용을 줄이는 방법이 있는데 대표적인 비용에는 세금이 있다. 불법적인 루트로 세금을 회피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자본주의 세상에서 합법적인 방법으로 세금을 줄이는 방법을 찾는 것은 현명한 투자자의 덕목이라 할 수 있다. 현명한 투자자로서 2023년부터 모든 주식에 양도세를 물린다는 한국경제의 기사는 주목할만한 뉴스로 보인다. [단독] 2023년부터 모든 주식 양도세 물린다 [단독] 2023년부터 모든 주식 양도세 물린다, 증권세제 개편안 '윤곽' 채권·파생상품에도 세금 부과 거래세율은 대폭 낮추기로 투자.. 2020. 6. 18.
ETF 이야기 - S&P 500 기술대형주를 골라담은 ETF 'XLK' XLK는 S&P500 에 있는 기술 대형주에 투자하는 ETF다. 4차산업이라는 변곡점에 와있는 현 시점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기술주에 집중되고 있다.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갈 회사들은 새로운 기술들을 보유한 회사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 같다. XLK는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의 비중이 높은 ETF다. 마이크로소프트(약200달러)와 애플(약300달러)의 개별주가가 꽤나 높기 때문에 소액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는 XLK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XLK 설명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 기술주 부분에 광범위하게 투자하지만 S&P500 포트폴리오자체와는 거리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뒤에 언급할 예정이긴 하지만 실제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와 비교해보면 성과가 꽤나 차이가 .. 2020.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