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ETF 이야기306

ETF 이야기 - ETF 비교 분석 VT(전세계주식) VS VTI(미국주식), 미국몰빵이 답일까? 지난번에는 전세계 주식 VT 100% 와 VTI+VEA+VWO를 동일한 비율로 분산투자했을 때를 백테스트로 비교분석했었다. VT는 전세계 주식을 국가별 주가총액의 비율로 보유하는 것이고 VEA는 선진국 주식 VWO는 신흥국 주식을 VT와 동일한 방식(국가별 주가총액의 비율로 보유)으로 보유한다. VT는 미국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한다는 특징이 있고VTI+VEA+VWO는 미국이외의 국가들에 대한 비중이 VT에 비해 더 높다는 특징이 있었다. ↓관련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봐주세요. 주식 이야기 - 글로벌 분산투자 비교분석(VT vs VTI+VEA+VWO) 지난번 글에서는 미국 전체 시장에 투자하는 VTI, 중국과 같은 신흥국에 투자하는 VWO 그리고 일본과 유럽등 선진국에 투자하는 VEA와 같은 전세.. 2020. 5. 21.
ETF 이야기 - 리스크 분산을 위한 채권 투자 ETF 'EDV(제로쿠폰장기채)' 주식 이야기 - 인플레이션 대비 물가연동채권 'LTPZ' 이번에 소개할 ETF는 물가와연동되는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인 'LTPZ'이다. 이 ETF는 20년 이상 만기가 남은 미국 물가연동 채권에 투자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되거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물�� free00life.tistory.com ↑물가연동채와 미국 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하신분은 위 글을 봐주세요. 지난번 글에서는 미국 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와 물가 연동채권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이번에는 미국 채권 ETF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한다. 논리 흐름상 미국 채권이라는 광범위한 개념에 대해 공부하고 물가연동채를 공부하는게 맞아보이긴하는데 '물가연동채'라는 것 자체가 좀 생소하고 궁금한 개념이라 먼저 공부해봤다. 미국의 .. 2020. 5. 15.
ETF 이야기 - 미국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인플레이션 대비 물가연동채권 'LTPZ' 이번에 소개할 ETF는 물가와연동되는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인 'LTPZ'이다. 이 ETF는 20년 이상 만기가 남은 미국 물가연동 채권에 투자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되거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물가연동형 채권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미국채권에 투자하는 이유는 뭘까 국채는 중앙정부가 정책 집행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빚을 내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미국 정부에게 돈을 빌려주고 그 돈을 다시 받을 권리가 국채인 것이다. 주식 투자를 해본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겠지만 보통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사람들은 채권을 찾는다. 주식가격이 떨어질때 반대로 채권을 오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왜 그런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졌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코로나 시국과 비교해.. 2020. 5. 13.
ETF 이야기 - 인플레이션 대비 고배당 신흥국 채권 ETF 'EMLC'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연준이(연방준비제도, Federal Reserve System) 90조원이 넘는 유동성을 공급했다고 한다. 자연스레 코로나 이후 막대한 유동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시중에 많은 달러가 풀려있으니 달러 가치는 떨어질 것이고 반대로 물가는 엄청나게 상승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만약에 그런 상황이 온다면 우리는 어디에 투자해야할까. EMLC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달러하락에 대비하여 신흥국 현지통화로 신흥국의 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ETF를 소개해보려고 한다. 고배당 신흥국 채권 ETF 'EMLC' EMLC는 신흥국 현지 통화로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또한 월배당에 5~6%까지 가는 높은 배당.. 2020.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