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센터7 모아데이타 - 카카오먹통 사태로 인한 수해 + 무상증자 테마 △최근 매수/매도 마크 주가급등이후에 발생하는 일명 거감음봉(거래량이 감소한 음봉)자리를 여러번 줬는데 잡지 못했다. 실력 부족이다. 카카오 데이터 센터 먹통으로 인해 가장먼저 수혜주로 거론됐었다. 빈살만 방문으로 인해 시장의 돈이 네옴시티로 쏠려있을때 모아데이타의 경우 주가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면서 상승을 준비했다. 나의 경우 120일선을 돌파하고나서 눌림을 줬을대 잡을 수 있었다. 지속적으로 재료가 살아있다고 확인시켜주는 기사들이 보였고 빈살만 방문으로 관심이 살짝 줄었을때 1차매수, 오늘 아침 1분봉상 120일선 위해서 주가가 지지해주는 것을 확인하고 추가로 매수했다. 현재는 1주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기업 개요 ●시총 :913억(2022.11.17기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 : 34.. 2022. 11. 18. ETF 이야기 - 데이터인프라에 투자하는 데이터센터 리츠 ETF 'SRVR' 2020년 12월 미국의 리서치 전문회사인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 건설 시장' 규모는 2020년에서 2027년까지 약 6.4%의 연간복합성장률을(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데이터 소비의 지속적인 증가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기업의 수요 증가는 데이터 센터 건설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주인터넷 기술인 스타링크와 카이퍼같은 기술이 현실화될 시점에는 아마도 더 많은 데이터센터가 필요할 것이다. 자율주행차량에 필요한 지속적인 인터넷 연결,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추구하는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클라우드 게임'의 구현을 위해서도 데이터 센터는 필수적이다. 그래서 오.. 2021. 7. 9. ETF 이야기 - 5G 및 자율 주행차와 함께 성장할 데이터 센터 리츠 ETF 'VPN' 새로운 특정 섹터가 유망할 것 같다면 해당 섹터의 개별주에 투자하기보다는 해당 섹터의 ETF에 투자하는 것이 실패확률을 줄일 수 있다. 우선 ETF에 투자하다가 특별한 한 두가지 기업이 자리를 잡아가는 것이 보이면 그때 개별 기업에 투자해도 늦지 않는다. 데이터 센터 리츠 분야도 그렇다. 시너지 리서치그룹이(Synergy Research Group) 2019년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에 대한 성장은 점차 거대기업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데이터 센터의 수익 상당부분이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알리바바, 오라클, 마이크로포스트와 같은 일명 하이퍼 스케일러(Hyper Scalers)로 부터 나온다는 것이다. 특히 앞으로는 5G 및 자율 주행과 같은 신기술이 데이터 수요를 빠르게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 2021. 3.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