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182

ETF 이야기 - 천재 AI 켄쇼의 워렌이 구성하는 ETF 'komp' S&P500으로 유명한 S&P글로벌은 2018년 한화 약 5880억원을 투자해 인공지능 회사인 켄쇼 테크놀로지를 인수했다. 인공지능 켄쇼가 뭐길래 그렇게 큰 금액을 주고 인수한 것일까. 인공지능 켄쇼는 수십억 원의 연봉을 받는 모건스탠리의애널리스트 15명이 한 달 가까이 매달려야 하는 일을 단 5분만에 처리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네이버 검색창처럼 원하는 정보를 검색창에 입력하기만 하면 짜라란 하고 결과물을 보여준다. 한때 600명에 달하던 골드만삭스의 주식 매매트레이더들은 켄쇼의 '워렌'이 보여준 엄청난 퍼포먼스로 모두 해고되고 말았다. 2명이 남았다고 하는데 사실 이 2명은 트레이더가 아니라 켄쇼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술 인력이라고 한다. 켄쇼의 인공지능 '워렌'은 천재적인 두뇌를 가졌으며 지치지도 .. 2020. 6. 12.
ETF 이야기 - QQQ+SPY 투자 황금비율을 찾아라(10월9일 수정내용 반영) 인덱스 펀드의 아버지이자 투자의 대가인 존 보글(뱅가드그룹의 설립자)은 지수 추종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라고 하셨다. 내가 최근 읽고 있는 존 보글의 투자 원칙을 담은 책인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의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해보면 이렇다. "이상한 펀드나 주식 같은 거 하지말고 걍 ETF(인덱스 펀드)사서 오래 보유해" 이 책도 조만간 다 읽고 나서 서평을 쓸 예정이긴 하지만 일관된 메시지는 ETF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얼마전 신사임당이라는 유명 유튜버 채널에 출연하신 조병학님은(현 파이낸셜뉴스미디어그룹 부사장) SPY랑 QQQ에만 꾸준히 투자하고 오래보유하면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다고 하셨다. 조병학님은 그냥 SPY랑 QQQ를 일정비율로 보유하면 된다고 했는데 여기서 의문이 생겼다. SPY랑 QQQ만 보.. 2020. 6. 11.
ETF 이야기 - 배당 ETF 비교분석 SPHD vs DGRO vs VIG 나라면 이거 나는 해외 주식의 경우 대부분의 투자금액을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넣고 있지만 일부는 관심 있는 ETF나 개별 배당주에도 투자하고 있다. 수동적수익(Passive Income)에 관심이 많다보니 배당우량주나 ETF에 대한 공부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미국 개별 주식들의 경우 상세한 기업 분석이 쉽지 않다보니 점차 비중을 줄이고 모든 종목을 ETF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발견한 개별 종몰들을 팔아서 내 계좌에 담아두고 싶은 ETF들을 소개해보려고 한다. 먼저 DGRO, VIG 각각의 ETF들에 대한 소개를 진행하고 Portfolio Visualizer를 통한 SPHD, DGRO, VIG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공유해보겠다. 자 그럼 시작해보자. ↓SPHD는 이전 글에서 소개한적이 있기 때문에 아래 링크.. 2020. 6. 5.
주식을 하는 3가지 접근 방법 '투자, 트레이딩, 도박' 현금을 그대로 들고 있으면 물가상승분만큼 손해를 보는 것이고 그렇다고 예적금을 넣자니 이자가 너무 짜다. 이런 현 상황을 반영하듯 '동학개미운동'이라는 용어도 등장했다.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해진 주식들을 용감하게 매수해가는 국내 투자자들을 일컫는 말이다. 나도 최근에야 투자를 시작했으니 동학개미 중 한 명일지도 모르겠다. 나처럼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해 주식에 임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한다. 주식투자면 주식 투자지 뭔 3가지 방법이 있을까. 구분 투자 트레이딩 도박 개념 해당 회사와 동업자가 된다. 수요공급의 심리파악을 통한 차트 분석 운에 맞긴 도박 시점 회사의 본래의 가치가 주가에 반영될 때까지 기다린다 (이에 따른 결과로 장기투자가 될 개연성이.. 2020. 5.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