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182 ETF 이야기 - ETF 비교 분석 VT(전세계주식) VS VTI(미국주식), 미국몰빵이 답일까? 지난번에는 전세계 주식 VT 100% 와 VTI+VEA+VWO를 동일한 비율로 분산투자했을 때를 백테스트로 비교분석했었다. VT는 전세계 주식을 국가별 주가총액의 비율로 보유하는 것이고 VEA는 선진국 주식 VWO는 신흥국 주식을 VT와 동일한 방식(국가별 주가총액의 비율로 보유)으로 보유한다. VT는 미국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한다는 특징이 있고VTI+VEA+VWO는 미국이외의 국가들에 대한 비중이 VT에 비해 더 높다는 특징이 있었다. ↓관련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봐주세요. 주식 이야기 - 글로벌 분산투자 비교분석(VT vs VTI+VEA+VWO) 지난번 글에서는 미국 전체 시장에 투자하는 VTI, 중국과 같은 신흥국에 투자하는 VWO 그리고 일본과 유럽등 선진국에 투자하는 VEA와 같은 전세.. 2020. 5. 21. 올웨더 이야기 - 6. 올웨더에서 왜 자산배분에 모멘텀을 넣거나 CAPE 등의 Valuation지표를 활용하지 않는지. 왜 동적자산배분을 안하는지.(Feat. 김단테님) 이번 질문에 대한 답변을 고민해보며 투자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 그만큼 많은 공부가 필요했다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고 나의 답변이 완벽하다는 뜻은 물론 아니다. 작성이 끝난 답변에 대해서도 꾸준히 수정을 해나갈 예정다. 모든 질문들에 대해 점점 완벽한 답변을 해나감에 따라 나만의 개선된 포트폴리오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동적자산배분 VS 정적자산배분 (투자전략 이해하기) 이 질문에 답변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멘텀'과 'CAPE', 'Valuation'과 같은 용어에 대한 개념 이해가 선행돼야 했다. 어렴풋이 알고 있는 단어지만 문장으로 적어내려갈 수 있을만큼 알고 있지는 않은 단어들이었기 때문이다. 용어의 개념은 검색해보면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Valuation .. 2020. 5. 20. 올웨더 이야기 - 5. 올웨더에서 왜 신흥국채권은 달러표기채권이 아니라 로컬화폐 채권을 써야 하는지(Feat. 김단테님) 다섯번째 질문에 답할 차례다. 이런저런 투자공부와 병행하며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공부하고 있는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서 스스로 성장하는 것을 많이 느낀다. 스스로에 대한 성장을 느끼는 것 자체가 투자공부에 대한 많은 동기부여가 되는 것 같다. 공부를 지속하다보니 주식 투자 자체에 대한 나름의 생각도 많이 정리가 되는 것 같다. 이부분들도 추후 정리할 예정이다. 잡소리는 여기서 끝내고 바로 질문으로 들어가 그에 대한 나름대로의 답을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올웨더에서 왜 신흥국채권은 달러표기채권이 아니라 로컬화폐 채권을 써야 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올웨더에서의 신흥국채권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올웨더에서 신흥국채권은 경제성장기와 물가상승기에서 자산 상승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런데 위.. 2020. 5. 19. ETF 이야기 - 리스크 분산을 위한 채권 투자 ETF 'EDV(제로쿠폰장기채)' 주식 이야기 - 인플레이션 대비 물가연동채권 'LTPZ' 이번에 소개할 ETF는 물가와연동되는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인 'LTPZ'이다. 이 ETF는 20년 이상 만기가 남은 미국 물가연동 채권에 투자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되거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물�� free00life.tistory.com ↑물가연동채와 미국 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하신분은 위 글을 봐주세요. 지난번 글에서는 미국 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와 물가 연동채권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이번에는 미국 채권 ETF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한다. 논리 흐름상 미국 채권이라는 광범위한 개념에 대해 공부하고 물가연동채를 공부하는게 맞아보이긴하는데 '물가연동채'라는 것 자체가 좀 생소하고 궁금한 개념이라 먼저 공부해봤다. 미국의 .. 2020. 5. 15.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