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공부39 ETF 이야기 - 트렌드한게 최고다! 유행을 따라 투자하는 ETF 'FOMO'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 혹은 고립공포감은 본래 마케팅 용어였으나, 사회병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심리학 용어로도 사용된다. 포모는 '놓치거나 제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또는 '자신이 해보지 못한 가치있는 경험을 다른 사람이 실제로 하고 있는 것, 또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렇게 보이는 상황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대해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된다. 출처 : 위키백과 오역 및 의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FOMO'는 남들은 다하는데 나만 못하고 있는 것 같은 두려움을 뜻한다. 최근 SNS 이용이 증가하면서 'FOMO'를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이 더욱더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투자세계에서도 'FOMO'는 존재한다. 누구는 투자로 돈을 많이 벌었다는데 나만 뒤쳐지고 있는듯한 .. 2022. 2. 8. ETF 이야기 - ESG는 사기다!, ESG에 대한 역발상 투자 ETF 'BAD' ESG는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첫글자를 딴 용어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측면에서 비재무적인 요소를 충분히 반영해 평가하고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출처 : 피델리티자산운용 원본 URL : https://www.fidelity.co.kr/insight-and-learning/learn-about-investing/esg-investing/what-esg-investing ESG는 본 블로그에서도 여러번 설명한 개념이다. 최근 투자 트렌드로써 엄청나게 많은 자금이 ESG를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다. 전세계 1,2위 자산운용사인 블랙록과 뱅가드 또한 'ESG'를 기준으로 자산을 운용하겠다고 밝히며 'ESG'의 중요성은 더욱더 커져가고 있다. ※영국 경제 일간지.. 2022. 2. 4. ETF 이야기 - 국내 게임 ETF 비교분석 Tiger K게임(Feat. Kodex 게임산업) 지난번 글에서는 삼성자산운용의 게임 ETF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오늘은 게임 ETF중에 가장 거래량이 많은 Tiger K게임 ETF에 대해서 공부해보고 삼성자산운용의 게임 ETF와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게임 ETF간의 포트폴리오를 비교해봤다. ETF 이야기 - 최근 엄청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KODEX 게임산업 ETF (FEAT. 메타버스, NFT) 과거 성과가 유사하고 운영방식도 유사하지만 포트폴리오간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살펴볼 가치는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게임 ETF 'Tiger K 게임'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할 내용이 많지 않다. Tiger K게임은 Wsie k 게임 테마 지수라는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 ETF라고 할 수 있다. 바.. 2021. 12. 1. ETF이야기 - 미래의 메가트랜드가 될 수 있을까? 전세계 구독경제 기업에 투자하는 ETF 'SUBS' '구독'이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서비스는 '유튜브'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유튜브 영상을 보다보면 '구독, 좋아요'를 부탁하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많기 때문이다. '구독'은 특정 서비스나 콘텐츠에 대해 유료 또는 무료로 가입하고 정기적인 서비스/콘텐츠 제공을 받는 것을 말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매출 창출이 가능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탐색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비용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다. 국내에서는 SK텔레콤의 T우주, KT 자사 OTT 시즌과 할리스커피 제휴를 통한 구독서비스, LG유플러스의 글래볼 플랫폼과의 제휴를 통한 서비스제공, 네이버의 프리미엄콘텐츠, 스마트스토어등이 대표적이다. 사실 국내의 '구독'서비스는 아직 부족한 점.. 2021. 11. 23.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