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ETF 이야기306

ETF 이야기 - 국내 반도체 ETF 3종 비교분석, 공통종목찾기 (KODEX 반도체, KBSTAR 비메모리반도체액티브, TIGER Fn반도체TOP10) 최근 반도체 섹터의 주가가 견조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국내 증시는 미국증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속적으로 주도주 역할을 해오던 메타버스, NFT, 게임관련주식들이 쉬어주면서 상대적으로 주가가 저렴해진 반도체 주식들의 주가가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4개월 전만해도 국내 반도체 주식에 대해 안좋은 리포트만 쏟아내던 외국계 증권사들도 무슨 일인지 갑자기 목표주가를 올리고 있다. 이래서 투자가 참 쉽지 않다. 절망적인 소식만 연속해서 들리다가도 또 언제 그랬냐는 듯이 주가는 반등을 하기도 한다. 심리에 휘둘리기 쉬운 초보 개인 투자자들의 경우 삼성전자를 저가에 손절하고, 손절하자마자 주가가 오르는 모습을 보며 좌절하기도 한다. 심리나 시황에 지나치게 휘둘리지 않기 .. 2021. 12. 7.
ETF 이야기 - 한국 콘텐츠의 미래에 투자해볼까 'KODEX Fn웹툰&드라마'(Feat. Tiger 미디어컨텐츠) BTS, 오징어게임, 지옥까지 최근 한국 콘텐츠 산업이 해외에서도 충분히 먹힐 수 있다는 희소식이 줄줄이 들려온다. 사실 이러한 기사는 최근에만 나온 것은 아니다. 대략10년 전쯤에도 '한류'라는 용어는 여전히 언론에서 자주 언급됐다. 물론 과거와 비교했을때 최근 한국의 문화 콘텐츠 위상이 훨씬 올라온 것은 맞지만 과연 이것이 지속성을 갖고 주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예전처럼 반짝하고 사라질지 아니면 세계 문화의 한 주류로 당당히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투자자로서는 문화/콘텐츠라는 투자 대상에 대해서 지속 모니터링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지난 번에는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Tiger 미디어컨텐츠'.. 2021. 12. 2.
ETF 이야기 - 국내 게임 ETF 비교분석 Tiger K게임(Feat. Kodex 게임산업) 지난번 글에서는 삼성자산운용의 게임 ETF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오늘은 게임 ETF중에 가장 거래량이 많은 Tiger K게임 ETF에 대해서 공부해보고 삼성자산운용의 게임 ETF와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게임 ETF간의 포트폴리오를 비교해봤다. ETF 이야기 - 최근 엄청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KODEX 게임산업 ETF (FEAT. 메타버스, NFT) 과거 성과가 유사하고 운영방식도 유사하지만 포트폴리오간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살펴볼 가치는 있다고 생각한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게임 ETF 'Tiger K 게임'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할 내용이 많지 않다. Tiger K게임은 Wsie k 게임 테마 지수라는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 ETF라고 할 수 있다. 바.. 2021. 12. 1.
ETF 이야기 - K-콘텐츠의 성장에 투자하고 싶다면 'Tiger미디어컨텐츠' 굳이 네이버에서 K-콘텐츠라고 검색을 해보지 않아도 세계에서 한국의 미디어컨텐츠에 대한 위상은 엄청나게 발전했다. 방탄소년단, 기생충, 지옥, 오징어게임과 같은 한국산 아이돌/콘텐츠들이 해외에서도 충분히 먹힐 수 있다는 확신을 지속적으로 심어주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러한 한국 컨텐츠의 위상이 지속될 수 있다면 투자자로서 당연히 매력적인 투자처가될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국내 미디어컨텐츠 기업에 투자하는 ETF Tiger 미디어컨텐츠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미디어컨텐츠 ETF 'Tiger미디어컨텐츠' Tiger미디어컨텐츠ETF는 Wise 미디어컨텐츠라는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 ETF다. 다만 패시브 ETF임에도 불구하고 운용보수는 다소 높은 편이다. 개인적인 생각.. 2021. 1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