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830 올웨더 이야기 - 3. 현재 환율에 환전해서 올웨더 투자를 시작하는게 맞는지(Feat. 김단테님) 자 벌써 3번째 질문을 공부할 차례다. 앞으로 35개나 해야하는데 이거 질문 하나하가 생각보다 답하기가 쉽지않다. 근데 반대로 생각하면 쉽지 않기 때문에 하나하나에 답변해가면서 내가 얻어가는 것들이 더 많은 것 같기도 하다. 숙제로 생가각하면 하기 싫어지는데 뭔가 배워갈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해나가니 나름 재미도 있는 것 같다. 주식 이야기 -1. 60/40 대비 올웨더 전략의 차이점 (Feat. 김단테님) 자본주의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제적 자유를 위해 '자본주의 바라보기'카테고리를 만들었다. 우선 내 목표는 40세가 되기 전까지 Passive Income(일안해도 들어오는 돈)만으로 월 1000만원을 넘�� free00life.tistory.com 주식 이야기 -2. 다른 회사들의 Risk Par.. 2020. 5. 14. ETF 이야기 - 미국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인플레이션 대비 물가연동채권 'LTPZ' 이번에 소개할 ETF는 물가와연동되는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인 'LTPZ'이다. 이 ETF는 20년 이상 만기가 남은 미국 물가연동 채권에 투자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되거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물가연동형 채권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미국채권에 투자하는 이유는 뭘까 국채는 중앙정부가 정책 집행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빚을 내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미국 정부에게 돈을 빌려주고 그 돈을 다시 받을 권리가 국채인 것이다. 주식 투자를 해본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겠지만 보통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사람들은 채권을 찾는다. 주식가격이 떨어질때 반대로 채권을 오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왜 그런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졌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코로나 시국과 비교해.. 2020. 5. 13. 경제 이야기 - 캐리 트레이드란? 지난번 '헤지펀드(Hedge Fund)'와 관련된 글에서 '캐리트레이드(Carry Trade)'를 언급한 적이 있다. 돈되는 것은 다 하는 '헤지펀드(Hedge Fund)'들이 '캐리트레이드(Carry Trade)'를 통해 수익을 내는 경우도 있다고 썼다. 당시에는 주제가 '헤지펀드(Hedge Fund)'였기 때문에 '캐리트레이드(Carry Trade)'에 관한 내용을 자세히 언급할 수가 없었다. 솔직히 당시에는 나도 '캐리트레이드(Carry Trade)'가 뭔지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 내가 '경알못'이라 그런지 몰라도 '캐리트레이드(Carry Trade)'라는 단어 자체도 생소하고 이 개념에 대해 궁금해할 사람이 있을까 의문이지만 정확히 알지 못하는 내용을 언급한 것은 뭔가 찜찜하기 때문에 공부해봤다.. 2020. 5. 12. 올웨더 이야기 - 2. 다른 회사들의 Risk Parity 전략과 올웨더 전략의 차이점(Feat. 김단테님) 자 지난번에는 김단테님의 35가지 질문 중 1번에 대한 답을 공부해봤다. 이번에는 2번 질문에 답할 차례다. 2번 질문은 '다른 회사들의 Risk Parity 전략'과 올웨더 전략의 차이점이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Risk Parity 전략이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김단테님의 35가지 질문과 1번 답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글을 봐주세요. 주식 이야기 - 60/40 대비 올웨더 전략의 차이점 (Feat. 김단테님) 자본주의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제적 자유를 위해 '자본주의 바라보기'카테고리를 만들었다. 우선 내 목표는 40세가 되기 전까지 Passive Income(일안해도 들어오는 돈)만으로 월 1000만원을 넘�� free00life.tistory.com Risk Pari.. 2020. 5. 11. 이전 1 ··· 196 197 198 199 200 201 202 ··· 2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