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적자유754

올웨더 이야기 - 18. 올웨더의 연평균 기대수익률과 그 이유, 연평균 변동성과 그 이유(Feat. 김단테님) 이번에도 어김없이 올웨더 포트폴리오 공부를 해봤다. 총35개의 질문중에 어느덧 중반을 넘어가고 있다. 확실히 1번 질문에 대해서 답했을 때 보다는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도가 많이 올라간 것 같다. 가끔 타인의 엄청난 성취와 성공을 목도할 때면 조급하고 초조한 마음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럴 때 일수록 내가 하던 것에 더욱 집중하는 것이 미래의 나에게 도움이 되는 일이라 믿는다. 좋은 투자 원칙과 방법을 알고 있더라도 그것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고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미래의 나에게 선물을 주기 위해 공부할 이번 질문은 '올웨더 연평균 기대수익률과 그 이유, 연평균 변동성과 그 이유'다. 올웨더의 연평균 기대수익률과 그 이유, 연평균 변동성과 그 이유 답변 이유 연평균 기대수익.. 2020. 7. 20.
절대수익 투자법칙 - 올웨더와 함께라면 투자, 잊고 살아도 된다!? 저자 : 김동주 (김단테) 이루다투자일임 대표, 어릴 때부터 프로그래밍의 매력에 빠져 KAIST에서 전산과를 전공하여 학사,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졸업 후 티맥스소프트, LG전자 등에서 프로그래머로 근무하다가 친구들과 함께 소셜커머스를 모바일에서 구현하는 스타트업 기업 로티플을 창업했다. 창업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회사가 카카오에 인수합병(M&A)되며 매각 대금을 카카카오 주식으로 받았다. 이후 카카오가 폭발적으로 성장해 상장사가 되면서 경제적 자유를 달성했다. 큰 부를 얻은 뒤 금융전문가에게 투자를 일임했으나 거의 수익을 얻지 못했다. 이에 스스로 방법을 찾아보던 중 계량적 투자 분야에서 열정을 발견, 학습과 연구를 거듭해 전업투자자로 변신한다. 2018년, 보다 전문적인 투자 시스템을 경험하기.. 2020. 7. 17.
ETF 이야기 - 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세계 채권 투자 ETF 'BND' vs 'TLT'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서 꼭 자산배분을 하지 않더라도 일정 비준의 채권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은 거의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가 끝을 모르고 오를 때 파티에 취하지 않고 침착하게 다음의 리스크 대비를 위해 일정 비중 채권을 모아가는 것이 투자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세계 주식을 주총 가중평균으로 투자하는 ETF인 'VT'가 있듯이 반대로 전세계 채권에 투자하는 ETF도 있다. 적어도 나에게는 주식보다는 오히려 채권이 좀더 생소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좀더 쉽게 분석해보기 위해 그나마 유명한 채권 ETF인 'TLT' 비교해서 공부를 해봤다. ↓VT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글 참조 주식 이야기 - 글로벌 분산투자 비교분석(VT vs VTI+VEA+VWO) 지난번 글에서는.. 2020. 7. 16.
ETF 이야기 - 월세처럼 3%대의 분배금(배당금)을 분기별로 받아보자 ETF 'DVY'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자유를 위해서는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수동적 수익(Passive Income)을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국내 주식의 경우에 아직 '주주환원' 문화가 덜 정착돼 있어서 회사의 이익을 배당금(ETF는 분배금)이라는 형태로 충분히 나눠주는 회사가 많지는 않다. 반면에 미국은 우리나라 보다 자본주의 역사가 훨씬 길어서 그런지 '주주환원'문화가 매우 활성화돼 있다. 그런 탓에 기업의 이익을 배당금(ETF는 분배금)형태로 주주에게 나눠주는 회사들이 매우 많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서, 수동적 수익(Passive Income) 확보를 위해서 미국 배당 ETF나 배당 주에 관심을 갖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 수밖에 없다. 주식 자체의 성장도 좋지만 보유하는 것만으로 3% 이상의 .. 2020. 7.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