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ETF81

ETF 이야기 - SPY ETF의 제약회사 버전 'XLV' (S&P500에 상장된 제약회사에 투자하는 ETF)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투자 섹터 중 하나를 꼽자면 '헬스케어, 제약' 부분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아직 확실하지는 않지만 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회사들은 이미 백신 개발을 완료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헬스케어 섹터 주식들은 변동성이 크고 다소 리스크가 높은 주식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나 또한 동의하는 바이다. 헬스케어라는 업계 특성상 엄청나게 많은 연구개발비가 들지만 결과물이 좋지 않을 경우 모든 투자비가 물거품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최근 트렌디한 섹터에 관심을 두고 공부를 해보는 것은 투자자로서 필요한 자세라고 판단하여 최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헬스케어 ETF에 대해서 알아봤다. ※ 제약, 헬스케어 관련 섹터 투자는 반드시 신중하게 접근해야합니다... 2020. 12. 4.
MSCI 지수 리벨런싱 때문에 주가가 떨어졌다는데 이게 뭘까? 네이버, 구글에서 MSCI를 검색해보니 MSCI 지수 변경 탓에 코스피가 급락했다는 기사가 눈에 띈다. 대충 느낌 상 MSCI 지수 변경으로 인한 코스피 하락은 펀더멘탈에는 큰 영향이 없으므로 일시적인 하락일 것이라는 느낌은 드는데 정확히 MSCI 지수가 뭔지 궁금하긴 하다. MSCI로 구글에 검색해보면 기업이라고 나온다. 주식, 채권, 헤지펀드 관련 지수, 주식 포트폴리오 분석 도구를 제공해주는 기업이란다. 홈페이지도 있다. 첫 화면에서부터 서베이 어쩌구하는 걸 보면 주식이나 경제 관련 조사를 수행하고 리포트를 발행하는 기업인 것 같다. 그러니까 MSCI는 경제관련 리포트를 다루는 기업이고 이 기업이 발행한 MSCI지수가 변경 돼서 코스피가 급락했다는 소리인 것 같다. MSCI지수가 뭐길래 코스피가 급.. 2020. 12. 2.
ETF 이야기 - 미래를 바꿔버릴만한 파괴적(와해성) 혁신 기술 기업은 어디일까 'DTEC' 와해성 혁신 기술이라는 말은 사실 2~3년 전부터 나왔던 용어인 것 같다. 좀 생소한 단어인 와해성 혁신 기술은 현재의 기술이나 트렌드를 모두 파괴 또는 와해시켜버릴 만한 혁신적인 기술을 말한다. 정말로 그런 기술을 가진 기업이고 미래를 바꿔버릴 만한 기술력으로 세상을 놀래킬 수 있다면 투자가치가 있을 법하다. 용어 자체만 보면 매우 매력적이다. 나에게는 다소 생소한 내용이라 ETF.com에 나온 ETF설명서를 좀더 자세히 살펴봤다. 'DTEC는 의료 혁신, 사물 인터넷, 청정 에너지 및 스마트 그리드,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및 분석, 핀 테크, 로봇 공학 및 인공 지능, 사이버 보안, 3D 인쇄 및 모바일 결제등 파괴적인 기술과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 부문의 10 가지 테마를 다룹니다. 타당성 모.. 2020. 12. 1.
ETF 이야기 - 네트워크 보안 기업에 투자하는 'IHAK'(유퀴즈 강방천회장을 보고 떠오른 투자 아이디어 기록) 지난 11월25일 '유 퀴즈 온더 블럭'에 국내 투자자들의 전설 중 한 명인 '강방천' 회장이 출연했다. 그는 주식 투자만으로 엄청난 자산가가 됐으며 현재는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을 경영하고 있다. 그는 시대의 변화흐름을 읽고 그 부분에 투자한 끝에 현재의 자산가가됐다고 얘기한다. 홈쇼핑 시대가 열린 것을 확인한 뒤 택배수요가 폭증할 것을 예측, '한진택배', '대한통운'에 투자하여 엄청난 투자수익을 올린 것이다. 엄청난 자산가인 주식농부 박영옥, 슈퍼개미 김정환도 자전거 수요가 늘어난다는 시대적 흐름을 읽고 삼천리 자전거에 투자해 현재의 부를 이뤘다고 한다. 그렇다면 앞으로의 시대적 흐름은 어떨까. 현재로서는 자율 주행 차량과 5G가 미래 유망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자율 주행 차량 안에.. 2020.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