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ETF81 ETF 이야기 - 미국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인플레이션 대비 물가연동채권 'LTPZ' 이번에 소개할 ETF는 물가와연동되는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인 'LTPZ'이다. 이 ETF는 20년 이상 만기가 남은 미국 물가연동 채권에 투자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되거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물가연동형 채권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미국채권에 투자하는 이유는 뭘까 국채는 중앙정부가 정책 집행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빚을 내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미국 정부에게 돈을 빌려주고 그 돈을 다시 받을 권리가 국채인 것이다. 주식 투자를 해본 사람들은 쉽게 이해하겠지만 보통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사람들은 채권을 찾는다. 주식가격이 떨어질때 반대로 채권을 오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왜 그런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졌다고 가정해보자. (현재 코로나 시국과 비교해.. 2020. 5. 13. ETF 이야기 - 인플레이션 대비 고배당 신흥국 채권 ETF 'EMLC'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연준이(연방준비제도, Federal Reserve System) 90조원이 넘는 유동성을 공급했다고 한다. 자연스레 코로나 이후 막대한 유동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시중에 많은 달러가 풀려있으니 달러 가치는 떨어질 것이고 반대로 물가는 엄청나게 상승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만약에 그런 상황이 온다면 우리는 어디에 투자해야할까. EMLC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달러하락에 대비하여 신흥국 현지통화로 신흥국의 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ETF를 소개해보려고 한다. 고배당 신흥국 채권 ETF 'EMLC' EMLC는 신흥국 현지 통화로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또한 월배당에 5~6%까지 가는 높은 배당.. 2020. 5. 7. ETF 이야기 - 다우존스 지수 추종 월배당 ETF 'DIA' 나스닥, S&P500관련 ETF를 살펴본데 이어 이번에는 다우존스를 추종하는 ETF를 공부해봤다. 다우지수는 가장오래된 주가 지수 산출방식으로 미국의 다우존스 사(DowJones社)에 의해 처음으로 발표되었는데 공업주 30종목 평균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쉽게 얘기해서 다우존스 회사가 만든 기준에 의해 분류된 30개 정도의 우량 기업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미국 주가 지수라고 보면 쉽다. ↓다우지수에 대해서 더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주식 이야기 - 미국 주가 지수 바라보기 : S&P500, 나스닥, 다우지수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미국 증시가 2년만에 최대 폭락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이 생각보다 막대하여 세계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 같다. 코로나 바이러.. 2020. 5. 5. ETF 이야기 - 저변동 고배당 미국 ETF 'SPHD' 비교 분석 Passive Income(수동적 수익)이라는 개념이 있다. 여기서 패시브(Passive)라는 단어는 게임좀 해본 사람이라면 익숙하게 느낄 것이다. 보통 패시브(Passive)라는 단어가 붙으면 특정 스킬이나 동작을 하지 않아도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Passive Income(수동적 수익)도 동일하다. Passive Income(수동적 수익)은 내가 어떤 노동력을 투입하거나 시간을 쓰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Passive Income(수동적 수익)은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Passive Income(수동적 수익)에는 부동산 임대료, 이자, 저작권료, 주식 배당금등이 있다. 내가 오늘 소개하고자하는 ETF인 SPHD는 Passi.. 2020. 4. 30.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