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크라이나재건10

SG - 아스콘 전문 기업 (Feat, 우크라이나재건, 영일만, 대왕고래프로젝트) SG는 2009년 12월 서울아스콘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된 후, 2016년 9월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한 뒤 2018년 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주요 사업으로 아스콘 제조와 건설 부문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식 시장에서는 우크라이나 재건 및 대왕고래 프로젝트 관련 재료로 잘 움직여주는 종목 중 하나다. 최근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러-우 종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유입되며 바닥대비 주가가 3배 올라주며 52주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현지 법인을 갖고 있고 과거 공급계약 체결이력도 있기 때문에 실수혜주로서 큰 시세를 준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지난 25일 전환사채 발행분을 포함해 꽤나 많은(유통 주식수 대비 약 38%) 물량이 출회될 수 있기 때문에 급락에 주의 해야한다.   ▷ .. 2024. 7. 29.
우림피티에스 - 파워트레인 분야, 건설중장비, 셰일오일 설비 등에 소요되는 감속기 전문 기업(Feat, 로봇, 영일만, 시추) ▷ 종목관련 이슈 우림피티에스는 파워트레인(Power Train) 분야 제철설비, 건설중장비, 풍력발전기, 셰일오일 설비에 소요되는 감속기 전문 기업이다. 굴삭기 같은 중장비 감속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과거 우크라이나 재건 주로 부각받은 이력이 있다. 감속기 하면 로봇이 빠질 수 없는데 로봇용 정밀 감속기 관련 삼성중공업과 국책과제 공동개발 이력이 있어 삼성 로봇 관련 테마로 주가가 상승한 이력도 있다.  가장 최근에는 대통령이 직접 포항 영일만에 석유/가스 매장가능성이 크다는 소식을 발표하면서 시추 관련 주로 시세를 줬다. 셰일시추용 구동장치, 굴삭기용 주행감속기등을 생산한 이력이 부각됐다. 정부 발표에다가 일정이 잡혀있는 테마기 때문에 추가적인 시세를 가져다줄 확률이 높아보인다.  ●시총 :969억(2.. 2024. 6. 4.
유신 - 토목·환경 엔지니어링컨설팅 기업(Feat, 네옴시티, 우크라이나재건) ▷ 종목관련 이슈 [단독]이재용·정의선·김동관, 내달 사우디行…빈 살만 접견 추진-네옴시티 수주전|동아일보 (donga.com)//2023.09.26, 곽도영 기자 26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사장 등은 10월 21~24일 3박 4일 일정으로 사우디를 방문한다. 한국경제인협회가 간판을 바꿔단 후 처음 사절단 일정을 주관한다. 정부 측에서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방문규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등 정부부처 핵심 관계자들이 사우디행을 검토 중이다. 유신은 과거 네옴시티 터널 프로젝트 참여 이력으로 네옴시티 관련주로 묶여있다. 또한 기반시설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재건주로도 분류된다. .. 2023. 9. 27.
머큐리 - 통신3사 모두에 제품을 공급하는 유무선 통신장비기업 ▷ 종목관련 이슈 머큐리(이하 동사)는 유무선 통신장비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통신장비 제조기업으로 WiFi AP 생산업체 중 국내 메이저 통신 3사(KT, SKB, LGU+) 모두에게 제품을 공급한다. 9월초 삼성전자 전제품에 Wi-Fi를탑재한다는 소식으로 상한가 이어서 애플'아이폰15'에 와이파이6E를 처음으로 탑재했다는 소식으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최근에는 사우디 SIIVC가 사우디산업개발펀드(SIDF)를 통해 한국 중소기업들의 산단 내 공장 설립과 설비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액 지원한다는 소식에 삼성전자 통신 장비 협력사이력이 부각되면서 고가 기준 27%상승 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재건시 유무선 통신망 구축 기대감 재료도 붙어있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지켜볼만한 종목이다. ●시총 :1,344억(2.. 2023. 9.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