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공부361 올웨더 이야기 - 22. 달러/원 환율의 1970년대부터 대략 어떻게 움직여왔는지. (Feat. 김단테님) 대략 3개월 가량 ETF 투자에 관한 글을 쓰지 못했다. 그렇다고 투자에 대해 손을 놓은 것은 절대 아니고 개인적으로 준비하던 시험이 있어 그것에 좀 더 비중을 두느라 글을 쓰지 못했다. 덕분에 시험에서는 좋은 결과를 얻었지만 어쨌든 독서, 운동 투자 관련 글 업로드에 소흘해졌던 것은 사실이다. 이제는 다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와서 꾸준히 공부한 결과를 올려볼 작정이다. 오래 걸렸지만 22번째 질문에 답해볼 차례다. 이 22번 질문에 대한 답변은 사실 김단테님의 블로그에 상세히 나와있다. 다른 질문들에 비해서 더 쉽게 찾을 수 있고 꽤나 구체적으로 답변이 나와 있다. 나 또한 김단테님이 올려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공부한 결과를 공유하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환율과 자산배분 1. 원화만 갖고 있는게 좋을까?.. 2020. 11. 2. 올웨더 이야기 - 21. 올웨더 투자자들이 가장 행복한 해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Feat. 김단테님) 총 35개의 질문중에 21번 질문에 답변할 차례가 왔다. 절반을 훨씬 넘겼다. 나는 3월정도부터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공부하고 투자하기 시작했고 블로그에 글을 올린 것은 5월부터다. 투자라는 것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것을 매일매일 느낀다. 글을 매일매일 쓰는 것도 어렵고 무엇이든지 꾸준히 하는 것은 정말로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하지만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서 이정도 노력을 하는 것은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더욱더 정진해서 하루하루 조금이라도 더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질 것이다. 21번 질문에 대한 답변은 그리 어렵진 않다. 이미 각 자산군들에 대한 이해가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 자산군들이 어떤 시장상황에서 좋은지, 그리고 각 자산군들의 비율은 어느정도인지를.. 2020. 8. 12. ETF 이야기 - 페이스북, 텐센트, 네이버에 한번에 투자하는 방법 SNS 섹터에 투자하는 ETF 'SOCL' 페이스북, 텐센트, 네이버의 공통점은 최근 코로나 사태 이후로 10%이상의 급등을 보인 주식들이라는 점이다. 또 다른 공통점으로는 이들이 모두 SNS 섹터에 속한 주식들이라는 점이다. 미래에셋에서 2011년 출시한 SOCL에 투자하면 이 3가지 주식을 모두 분산하여 보유할 수 있다. 현재 이미 고점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추후에 빠른 회복을 보일만한 주식이나 ETF에 투자할 수 있도록 미리 공부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전에 SNS 섹터에 투자하는 SPDR의 XLC를 소개한적이 있었지만 국내주 네이버를 이만큼 많이 보유한 ETF가 조금 반갑기도 해서 공부를 해봤다. (ETF운용사가 미래에셋이기 때문인가..) ↓XLC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주식 이야기 - 구글, 페북, 넷플릭스.. 2020. 8. 11. ETF 이야기 - PFF 보다 변동성이 적은 고배당 우선주 ETF 'PGX' 투자회사인 템플턴 그로스사(Templeton Growth)를 설립하였고, 투자 범위를 세계적으로 확대한 글로벌 펀드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월 스트리트의 살아 있는 전설' 존 템플턴 경은 최적의 주식 매수 타이밍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최적의 매수 타이밍은 시장에 피가 낭자할 때다. 설령 그것이 당신의 피일지라도 말이다." 말은 쉽지만 시장에 피가 낭자할 때 야수의 심장으로 자신의 피같은 돈을 과감하게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시장에 피가 낭자하고 내 계좌에도 피가낭자할 때 우리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 어려워진다. 주식시장에는 변동성(volatility)이라는 용어가 있다. 주식 시장에서 변동성이 클 수록 우리는 패닉에 빠지기 쉽고 실수하기가 더 쉬워진다. 이 변동성은 STDEV(S.. 2020. 8. 10. 이전 1 ··· 82 83 84 85 86 87 88 ··· 9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