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182 'EBITDA' 활용해서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을 해보자(DART 사이트에서 직접 계산해보기)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PER'이다 'PBR'이다 뭐 어려운 용어가 너무 많다. 검색창에 검색해보면 쉽게 의미와 뜻을 찾아볼수는 있지만 자꾸 까먹게 되고 명확하게 와닿지가 않는다. 빨리 투자 고수는 되고 싶은데 이런 용어들은 매번 볼때마다 생소하고 어려운 느낌이 든다. 이런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아쉽지만 없다. 다만 점차 나아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어색하더라도 자꾸 찾아보고 자주 접해보면서 익숙해지는 수밖에는 없다. 처음부터 짧은 시간에 모든 것을 이해할 필요는 없다. 차근차근 이해하려고 노력해보고 직접 계산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용어가 명확하게 이해되는 순간이 온다. 오늘은 내가 자주 활용하는 EBITDA를 활용한 밸류에이션 방법에 대해 정리해봤다. 밸류에이션으로 넘어가기 전.. 2021. 4. 22. ETF 이야기 - 산업용 부동산(창고, 물류센터)에 투자하는 ETF 'INDS' 2020년11월 기사이긴 하지만 위 스크린샷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상업용 부동산은 타격을 입은 반면 '창고'같은 산업용 부동산은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기사다. 게다가 바이든 대통령의 인프라 부양책이 문제 없이 집행될 수 있다면 산업용 부동산 섹터의 전망은 지속적으로 긍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반영하듯 미국 산업용 부동산에 투자하는 ETF인 INDS의 주가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은 생소할 수 있지만 미국의 '산업용' 부동산에 투자하는 리츠 ETF인 'INDS'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미국 '산업용' 부동산에 투자하는 ETF 'INDS' 용어가 다소 헷갈릴 수 있는데 상업용 부동산과 산업용 부동산은 완전히 다르다. INDS는 '산업용'부동산에 투자하는 ETF다. 창고, 물류.. 2021. 4. 20. ETF 이야기 - 바이든의 인프라 투자 수혜 ETF 'IFRA, PAVE' 지난 1월 14일 바이든의 정책 기조에 수혜를 받을 만한 ETF를 소개한적이 있다. 그중에 특히 인프라 관련 ETF인 'RGI'가 이후 꽤나 좋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헌데 최근 인프라 관련 ETF들의 모멘텀을 더욱 강화시켜줄만한 바이든의 2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발표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바이든 정책 수혜 ETF 관련글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블루웨이브 수혜 ETF 3탄 인프라, 기술주'RGI, FXL' (Feat.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 추천) 물론 바이든이 발표한 투자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공화당과의 협의 등 아직 갈길이 조금 더 남은 듯하다. 그럼에도 바이든의 정책기조상 인프라 관련 투자를 늘리려는 시도는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관련 기사에 항상 귀를 기울일 필요는 있다.. 2021. 4. 6. 주식 다팔고 도망쳐야할 때는 언제일까? (Feat, 초보투자자를 위한 Fred 사이트 활용법) 최근의 증시흐름은 나쁘지 않다. 개별적으로 어떤 종목에 투자했느냐에 따라 각자의 계좌 수익률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코스피지수 3000선을 지속적으로 지켜주며 4월2일 오후2시 기준 3100을 넘어섰다. 이렇게 분위기가 좋은데 갑자기 주식 다팔고 도망쳐야한다는 소리를 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지금처럼 장이 살아날때 흥분해서 무턱대고 추격매수 하지말고 이럴때일수록 차분하게 그 이후의 일에 대해 고민해보고 공부해보는 것이 스스로에 더 득이 되는 결정이다. 오늘은 큰 폭의 증시 하락이 올 수 있는 시그널을 비교적 미리 포착할 수 있는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사이트 활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초보투자자일수록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폭락을 맞는 것보다는 미리 준비.. 2021. 4. 2.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