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246 ETF 이야기 - 순환경제로의 전환 수혜를 받을만한 기업에 투자하는 ETF 'wwow' 어제 국제환경장비 및 자원순환산업전(이하 RETECH)이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막됐다고 한다. 전시 개막일인 24일에는 ‘폐기물 관리 및 처리기술 발표회’, ‘폐자원에너지 정책·기술 포럼’, ‘탄소중립을 위한 폐자원 에너지 기술 워크숍’도 개최됐다. 순환경제와 관련된 행사들이 여기저기서 개최되고 있는 것을 보면 탄소중립, 친환경, 순환경제와 같은 테마들이 꽤나 중요성있게 다뤄지는 주제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글로벌 기술 인텔리전스 기업 ABI Research는 최근 순환 경제 가 향후 5년 동안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 10년 말까지 세계 경제는 10.5%의 순환성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https://www.environmentalleader.com/ 탄소중립, 지속가.. 2021. 11. 25. ETF 이야기 - 환경문제를 위해 힘쓰는 기업에 투자하는 ETF 'GSFP' 파월의 연임이 확정됨에 따라 미국 증시 중 성장주 중심의 나스닥은 '조정'으로 반응했다. 시장 친화적인 성향이 있는 파월이긴 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겠다는 언급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인플레이션 관련 발언 보다 더 눈에 띄는 발언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기후'에 대한 언급이다. 보통 연준의장 연임에 따른 인터뷰 진행시 경제 이외의 이슈에 대해 언급하는 케이스는 매우 드물다. 그럼에도 '기후 변화'에 대응해야한다는 말을 언급한 것을 보면 '기후 변화'이슈가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 알 수 있다. 우리는 투자자로서 편견없이 지속적으로 세계가 주목하는 이슈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전세계가 집중하고 있는 '기후'라는 문제는 우리 모두의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업들이야 말.. 2021. 11. 24. ETF이야기 - 미래의 메가트랜드가 될 수 있을까? 전세계 구독경제 기업에 투자하는 ETF 'SUBS' '구독'이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서비스는 '유튜브'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유튜브 영상을 보다보면 '구독, 좋아요'를 부탁하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많기 때문이다. '구독'은 특정 서비스나 콘텐츠에 대해 유료 또는 무료로 가입하고 정기적인 서비스/콘텐츠 제공을 받는 것을 말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매출 창출이 가능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탐색의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비용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다. 국내에서는 SK텔레콤의 T우주, KT 자사 OTT 시즌과 할리스커피 제휴를 통한 구독서비스, LG유플러스의 글래볼 플랫폼과의 제휴를 통한 서비스제공, 네이버의 프리미엄콘텐츠, 스마트스토어등이 대표적이다. 사실 국내의 '구독'서비스는 아직 부족한 점.. 2021. 11. 23. ETF 이야기 - 전세계 수소기업에 투자하는 수소 ETF 'HYDR' (Feat. HDRO) 메가트렌드(megatrends)란? 미국의 미래학자 존 네이스비츠의 저서인 '메가트렌드'에서 유래된 용어로 10년 혹은 그 이상의 기간 동안 개인, 사회, 세계적 삶을 형성하는 중요한 방향성을 의미한다. 출처 : 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287157 주식 투자를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매매를 자주 할 수 없는 투자자의 경우 메가트렌드에 분산하여 장기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은 투자방법이 될 수 있다. 최근 메가트렌드 중에는 '친환경'이 모두가 장기적으로 유망할 것으로 꼽는 투자처다. 그래서 오늘은 '친환경' 중에서도 수소경제에 투자하는 ETF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전세게 수소기업에 투자하는 ETF 'HYDR' HYDR은 전 세계 수소 .. 2021. 11. 18.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