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TF246

ETF 이야기 - 오늘 상장한 'KODEX 미국나스닥 100 레버리지 ETF'(FEAT. QLD) 투자자라면 '나스닥은 신이다'라는 말을 할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나스닥의 지수 움직임을 보면 그럴만도하다. 물론 중간중간 큰 폭의 등락은 있지만 어쨌든 꾸준히 아름다운 차트를 그리며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 나스닥 2배 레버리지 ETF인 QLD에 지수가 크게 흔들릴 때만 분할로 매수하여 수익을 내는 투자자들도 많다. ▼미국 주가 지수 및 QLD 관련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미국 주가 지수 쉽게 알아보자 : S&P500, 나스닥, 다우지수 ETF 이야기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레버리지 ETF 'UPRO, QLD'(Feat. 레버리지잠식) 레버리지 ETF의 경우 변동성이 매우 크고 레버리지 비용인 금리가 높을 경우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몇.. 2021. 12. 9.
ETF 이야기 - 한국 콘텐츠의 미래에 투자해볼까 'KODEX Fn웹툰&드라마'(Feat. Tiger 미디어컨텐츠) BTS, 오징어게임, 지옥까지 최근 한국 콘텐츠 산업이 해외에서도 충분히 먹힐 수 있다는 희소식이 줄줄이 들려온다. 사실 이러한 기사는 최근에만 나온 것은 아니다. 대략10년 전쯤에도 '한류'라는 용어는 여전히 언론에서 자주 언급됐다. 물론 과거와 비교했을때 최근 한국의 문화 콘텐츠 위상이 훨씬 올라온 것은 맞지만 과연 이것이 지속성을 갖고 주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예전처럼 반짝하고 사라질지 아니면 세계 문화의 한 주류로 당당히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투자자로서는 문화/콘텐츠라는 투자 대상에 대해서 지속 모니터링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지난 번에는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Tiger 미디어컨텐츠'.. 2021. 12. 2.
ETF 이야기 - K-콘텐츠의 성장에 투자하고 싶다면 'Tiger미디어컨텐츠' 굳이 네이버에서 K-콘텐츠라고 검색을 해보지 않아도 세계에서 한국의 미디어컨텐츠에 대한 위상은 엄청나게 발전했다. 방탄소년단, 기생충, 지옥, 오징어게임과 같은 한국산 아이돌/콘텐츠들이 해외에서도 충분히 먹힐 수 있다는 확신을 지속적으로 심어주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러한 한국 컨텐츠의 위상이 지속될 수 있다면 투자자로서 당연히 매력적인 투자처가될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국내 미디어컨텐츠 기업에 투자하는 ETF Tiger 미디어컨텐츠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미디어컨텐츠 ETF 'Tiger미디어컨텐츠' Tiger미디어컨텐츠ETF는 Wise 미디어컨텐츠라는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 ETF다. 다만 패시브 ETF임에도 불구하고 운용보수는 다소 높은 편이다. 개인적인 생각.. 2021. 11. 30.
ETF 이야기 - 국내 골프 산업에 투자하는 ETF 'HANARO Fn골프테마' 최근 MZ세대라고 불리우는 젊은 층의 골프 관련 소비가 늘어나면서 골프 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쏠리고 있다. 기존에 없거나 미미했던 신규 수요가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골프산업의 외형적 확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골프와 관련된 의류, 스크린골프 관련 주식들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러한 산업의 변화를 반영하여 NH-Amundi 자산운용은 지난 24일 골프테마 ETF를 출시했다. 과연 해당 ETF에는 어떤 종목들이 편입돼을지 공부해봤다. 골프테마 ETF는 지속적인 성장성을 보여줄 수 있을까? 'HANARO Fn골프테마' 'HANARO Fn 골프테마'의 경우 Fnguide 골프테마지수라는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 다. 거두절미하고 바로 과거 성과를 보면 현재까지는.. 2021. 1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