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830

올웨더 이야기 - 23. 왜 올웨더와 Risk Parity 전략에서는 장기채를 쓰는지 (Feat. 김단테님)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관한 질문은 총 35개이며 이 질문은 현재 이루다 투자 일임의 대표직을 맞고 있는 '김단테'님의 블로그에서 원문을 확인할 수 있다. ↓김단테 님의 블로그 올웨더 절대 하지마세요 1. 계좌공개의 효과인지 블로그, 유튜브에 많은 분들이 들어옵니다. 무작정 따라만 할까봐 우려도 됩니다. ... blog.naver.com 35개의 질문을 올려놓은 글은 '올웨더 절대 하지마세요'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는데 앞에 생략된 말이 있다. '35개의 질문에 전부 답변할 수 없다면 올웨더 절대 하지마세요'가 본래의 전체 질문이다. 올웨더 포트폴리오 투자법 뿐만이 아니라 모든 투자가 그렇다. 자신만의 투자 철학과 확신이 없다면 언제든 찾아올 수 있는 하락장을 견딜 수 없고 금세 투자 전략을 바꿔버리게된다. 결.. 2020. 11. 3.
올웨더 이야기 - 22. 달러/원 환율의 1970년대부터 대략 어떻게 움직여왔는지. (Feat. 김단테님) 대략 3개월 가량 ETF 투자에 관한 글을 쓰지 못했다. 그렇다고 투자에 대해 손을 놓은 것은 절대 아니고 개인적으로 준비하던 시험이 있어 그것에 좀 더 비중을 두느라 글을 쓰지 못했다. 덕분에 시험에서는 좋은 결과를 얻었지만 어쨌든 독서, 운동 투자 관련 글 업로드에 소흘해졌던 것은 사실이다. 이제는 다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와서 꾸준히 공부한 결과를 올려볼 작정이다. 오래 걸렸지만 22번째 질문에 답해볼 차례다. 이 22번 질문에 대한 답변은 사실 김단테님의 블로그에 상세히 나와있다. 다른 질문들에 비해서 더 쉽게 찾을 수 있고 꽤나 구체적으로 답변이 나와 있다. 나 또한 김단테님이 올려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공부한 결과를 공유하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환율과 자산배분 1. 원화만 갖고 있는게 좋을까?.. 2020. 11. 2.
ETF 이야기 - 켄쇼를 뛰어넘을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술주 ETF 'IETC' 감정을 배제하고 오로지 데이터만 가지고 투자를 한다면 어떤 성과를 낼까. 그 역사가 그리 길지 않아 증명된 부분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꽤나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 같긴 하다. 각종 지수와 데이터를 분석해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을 때 인간을 뛰어넘는 성과를 얼마나 지속하여 낼 수 있을지 매우 궁금하고 기대가 되기도 한다. 이전에는 AI 켄쇼의 워렌이 구성하는 ETF인 'komp'에 대해 소개한적이 있다. 주식 이야기 - 천재 AI 켄쇼의 워렌이 구성하는 ETF 'komp' S&P500으로 유명한 S&P글로벌은 2018년 한화 약 5880억원을 투자해 인공지능 회사인 켄쇼 테크놀로지를 인수했다. 인공지능 켄쇼가 뭐길래 그렇게 큰 금액을 주고 인수한 것일까. 인공지능 켄쇼는 � free00life.tis.. 2020. 8. 14.
ETF 이야기 - 변동성은 적지만 준수한 성과를 보여주는 ETF 'USMV' 나는 시장의 장기적 우상향을 믿는다. 하지만 문제는 항상 '장기적'이라는 기간에서 발생한다. 언제가는 우상향하긴 할거지만 그 기간이 너무 길거나 하락폭이 심할 경우에 겪을 수 있는 심리적 압박은 매우 힘들다. 언제까지만 하락할거다 라고 미리 귀띔이라도 해주면 버틸 수 있겠지만 그건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그래서 나는 엄청나게 높은 수익률 보다는 변동성이 적고 장기적으로 우상향을 그리는 종목들을 좋아한다. 지금은 주식 시장이 엄청나게 좋은 편이라 다들 한 자리수 수익률로는 만족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주식 시장은 언제나 리스크를 동반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래서 변동성이 적고 지속적으로 수익을 낼만한 ETF를 공부해봤다. 변동성은 적지만 S&P500에 맞먹는 성과를 내는 ETF 'USMV' US.. 2020.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