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채권23

올웨더 이야기 - 14. 채권의 maturity, duration, coupon 이 무엇인지. 금리에 따라 채권의 가격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인지(Feat. 김단테) 주식 투자를 시작하게 되면 크게 관심이 없더라도 반드시 '채권'이라는 용어를 듣게 될 것이다. 보통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조절해가며 리스크를 관리하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주식과 채권은 때려야 땔 수 없는 단짝과 같은 존재랄까.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 주식만큼이나 많은 공부가 필요한 자산군이 '채권'인 것 같다. 채권은 쉽게 얘기하면 정부나 기업에서 발행하는 차용증(빚)이다. 정부, 회사, 은행들은 이러한 채권 발행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들은 채권을 매수함으로써 원금과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 정도만 알면 너무 간단해 보이는데 사실 어떤 분야든 깊게 들어가면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김단테님의 '(이 질문들에 답변하지 못하면)올웨더 절대로 하지말라'에 나오는 14번 질문에.. 2020. 6. 23.
올웨더 이야기 - 13. EDV 같은 ETF는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입금 들어오면 어떻게 하는지. 돈이 나가면 어떻게 하는지.(Feat. 김단테님) 올웨더 포트폴리오 뿐만이 아니라 개별 주식이나 ETF에 투자하더라도 채권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자기는 채권에는 관심이 없고 100%로 주식에만 투자한다고 하더라도 채권에 대한 이해 없이 하는 주식은 도박에 가깝기 때문이다. 주식과 채권은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 어느 한쪽만을 이해해서는 둘 다 100% 이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정적인 투자방식이 아니라 액티브한 방식으로 투자하는 사람들 조차도 채권과 주식의 비중을 조절해가며 투자한다. 그렇기 때문에 굳이 올웨더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13번 질문에 대한 이해는 주식 투자 전반에 있어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EDV는 제로쿠폰 장기채 ETF로 해당 ETF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아래 글을 참조바란다. 주식 이야기 - 리스크 분산을 위한 채권 .. 2020. 6. 15.
올웨더 이야기 - 5. 올웨더에서 왜 신흥국채권은 달러표기채권이 아니라 로컬화폐 채권을 써야 하는지(Feat. 김단테님) 다섯번째 질문에 답할 차례다. 이런저런 투자공부와 병행하며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공부하고 있는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서 스스로 성장하는 것을 많이 느낀다. 스스로에 대한 성장을 느끼는 것 자체가 투자공부에 대한 많은 동기부여가 되는 것 같다. 공부를 지속하다보니 주식 투자 자체에 대한 나름의 생각도 많이 정리가 되는 것 같다. 이부분들도 추후 정리할 예정이다. 잡소리는 여기서 끝내고 바로 질문으로 들어가 그에 대한 나름대로의 답을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올웨더에서 왜 신흥국채권은 달러표기채권이 아니라 로컬화폐 채권을 써야 하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올웨더에서의 신흥국채권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올웨더에서 신흥국채권은 경제성장기와 물가상승기에서 자산 상승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런데 위.. 2020. 5. 19.
ETF 이야기 - 리스크 분산을 위한 채권 투자 ETF 'EDV(제로쿠폰장기채)' 주식 이야기 - 인플레이션 대비 물가연동채권 'LTPZ' 이번에 소개할 ETF는 물가와연동되는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인 'LTPZ'이다. 이 ETF는 20년 이상 만기가 남은 미국 물가연동 채권에 투자한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되거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물�� free00life.tistory.com ↑물가연동채와 미국 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하신분은 위 글을 봐주세요. 지난번 글에서는 미국 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와 물가 연동채권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이번에는 미국 채권 ETF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한다. 논리 흐름상 미국 채권이라는 광범위한 개념에 대해 공부하고 물가연동채를 공부하는게 맞아보이긴하는데 '물가연동채'라는 것 자체가 좀 생소하고 궁금한 개념이라 먼저 공부해봤다. 미국의 .. 2020.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