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246 ETF 이야기 - 돈잘버는 고퀄리티 회사들만 모아놓은 ETF 'FTCS' 혹자는 좋은 기업에 장기 투자하는 것이 주식 투자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고 말한다. 좋은 기업은 무엇일까. 쉽게 얘기해서 부자 기업이 좋은 기업이다. 부자 기업은 어떤 기업일까. 보유한 현금이 많고 부채는 적으면서 돈을 잘버는 기업이다. 물론 이러한 기업들의 주식은 저평가되기가 어렵다. 모두가 좋은 기업인지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기업들은 PER이 높은 겨우가 많고 드라마틱한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기업들에 투자했다면 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것을 기대해볼 수 있고 무엇보다 마음이 편하다. 그래서 오늘은 투자해 놓고 마음편히 발뻗고 잘 수 있는 부자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인 'FTCS'에 대해서 알아봤다. 투자해놓으면 마음이 편한한 기업들만 모아놓은 ETF 'FTCS.. 2021. 6. 28. ETF이야기 - 미국의 헬스케어 디바이스 기업에 투자해보자 'IHI, XHE'(Feat, ROIC와 WACC) ※기간 2004년12월~2021년4월 ※기간 2004년12월~2021년3월 위 자료는 투자리서치 회사 'New Construstc'가 발표한 헬스케어 회사들의 ROIC와 WACC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첫번째 그래프를 살펴보면 비용은 절약되는 반면에 수익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번째 그래프에서는 시가총액 가중지수가 적용된 ROIC가 더 높은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즉 헬스케어 회사들중에 시가총액이 큰 회사(대형회사)의 수익성이 더 개선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다. (참고로 세번째 그래프, 기술섹터를 보면 시가총액이 적은 회사의 ROIC와 시가총액이 큰 회사의 ROIC가 거의 비슷하다.) 그래서 오늘은 앞으로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헬스케어 섹터의 메디컬 디바이스 기업들에 투자하는.. 2021. 6. 25. ETF 이야기 - 탄소중립 이슈로 주목받는 원자력발전에 투자하는 ETF 'URA' 대한민국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이는 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이어서 3번째다. EU는 이미 2019년에 탄소중립을 선언한 바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탄소중립을 위해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일상생활에서는 드문드문 전기자동차가 보이는 것 외에는 특별한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각국은 ESG와 환경문제에 대해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탄소중립carbon neutral, 炭素中立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기업이나 개인이 발생시킨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이산화탄소 흡수량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zero)’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출.. 2021. 6. 24. ETF이야기 - 탄소배출권에 투자하는 ETF 'KRBN' (Feat. 탄소배출권이란?)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지난 4월 기후정상회의에서 주요 국가들은 온실가스 제한 목표를 상당히 공격적으로 상향했다. 더불어 유럽은 탄소 국경세를 2023년부터 적용하는 절차에 들어갔으며, 미국도 곧 이를 추진할 예정이다. 심화된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과 맞물려 정책적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다. 투자자로서 'ESG'와 탄소배출권에 관심을 더욱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샘이다. ※ESG 와 영구동토층관련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ESG를 기반으로 투자하는 ETF 'ESGU, SUSA' (Feat. 영구동토층) 그렇다면 기후정상회의에서 항상 언급되는 '탄소배출권'이란 과연 무엇일까. 위키피디아 검색 결과에 의하면 6대 온실가스를 일정기간 동안 배출할 수 있도록 국제연합의 담당기구가.. 2021. 6. 18.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