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ETF 이야기306

ETF 이야기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투자 청정에너지 산업 ETF 'ACES'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탄소중립 이슈로 인한 산업용 공급 통제로 중국의 전력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언론들은 리스크가 발생하면 투자자들이 겁을 집어먹을 수밖에 없도록 강하고 자극적인 어조로 기사를 작성한다. 하지만 경험 많은 투자자들은 이러한 자극적인 기사와 뉴스 속에서도 침착하게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노력한다. 헝다그룹사태와 미국 디폴트 리스크, 금리인상 리스크 등으로 증시는 조정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증시는 위기와 함께 상승한다. 냉철한 시각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미래의 성장을 이끌 산업에 투자하는 것이 경제적 자유를 향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물론 예상치 못한 리스크에는 항상 대비가 필요하지만 말이다. 그래서 오늘은 전세계가 정책적으로 밀어주는 '청정에너지'.. 2021. 9. 30.
ETF 이야기 - 금리인상 헷지를 위해 전세계 금융주에 투자해보자 'IXG' 한국은행의 경우 이미 1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고, 지속적으로 비둘기파적인 발언을 했던 파월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더불어 미국의 디폴트 리스크로 미국 장이 좋지 않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끝없이 오르기만할 것 같았던 '나스닥'이 가장 크게 조정받으면서 금리인상 리스크와 디폴트 리스크에 대비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국장의 하락여파로 국내 증시도 오늘 크게 흔들리고 있는데 그나마 금융주들은 주가를 잘 버텨주고 있는 모양세다.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지금 이라도 금리 상승에 대비할 수 있도록 관련 투자 자산들을 공부해놓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전세계 중대형 금융주에 투자하는 'IXG'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전세.. 2021. 9. 29.
ETF 이야기 - AI켄쇼가 구성하는 청정에너지 ETF 'CNRG' CNRG는 친환경에너지와 관련된 기업에 투자한다. CNRG가 다른 친환경 ETF들과 다른점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주체가 'AI'라는 점에 있다. 그 'AI'의 이름은 바로 '켄쇼'다. 켄쇼에 대한 설명은 이전의 글에서 이미 언급한 적이 있어서 이번 글에서는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다. 결론적으로 오늘 CNRG에 대해 공부해본 이유는 CNRG가 미래의 성장성이 담보될만한 매력적인 구성요소가 많은 ETF이기 때문이다. AI와 친환경이라는 소재는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라고 생각한다. 서론은 이쯤으로 하고 바로 상세 ETF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켄쇼와 켄쇼의 대표 ETF 'Komp'에 대해 궁금하신 투자자는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ETF 이야기 - 천재 AI 켄쇼의 워렌이 구성하.. 2021. 9. 27.
ETF 이야기 - 미국에서 가장 큰 1000대 기업에 투자하는 'IWB' '미국 빅테크'라는 단어로 구글에 검색을 해보면 가장 눈에 띄는 키워드는 '규제'다. 최근 국내 시장도 규제 이슈로 카카오,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 기업들의 주가 흐름이 좋지 않다. 그럼에도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성은 지속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단기적으로는 주가흐름이 좋지 않을지라도 장기적인 시각에서 보면 결국 우상향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빅테크기업의 성장성이 꺾이게 될지 아니면 장기적으로 다시 성장을 지속할지는 사실 아무도 알 수 없다. 그저 투자자의 개인적인 성향과 생각에 따라 방향을 정하면된다. 오늘 공부해볼 'IWB'는 빅테크 기업의 성장성에 베팅하는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ETF다. IWB는 러셀지수에 포함된 시총규모 상위1000개 기업에 투자한다. 미국 1000대 대기업에 투자하는 ETF 'IWB.. 2021.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