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ETF 이야기306

ETF 이야기 - 지정학적 리스크를 피해 선진 시장에 투자해보자'EFA' 우리나라의 경제는 특히 지정학적 리스크에 취약하다. 수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중국과 미국간의 분쟁이 발생하면 코스피와 코스닥은 폭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게다가 북한이 미사일이라도 발사하는 날에는 외국의 큰 자금들이 모두 빠져나가서 또 증시는 폭락한다. 그래서 그런지 FOMC, 잭슨홀 미팅, 미국국채 금리, 중국 증시 등 신경써야할 것들이 아주 많다. 특정 주식에 집중해서 바텀업(Bottom-up)방식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에게는 큰 문제가 아니라고 할 수 있겠지만 지수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어떤 종목도 상승하기 힘들다. 이럴 수록 지정학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게 투자하는 국가 또한 다변화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탑다운(Top-down)방식의 투자를 선호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자산군간의 분.. 2021. 9. 1.
ETF 이야기 - 안정적인 성과를 보여준 동일비중 바이오테크 ETF 'FBT' 바이오테크 관련 기업들이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는 것에 반대하는 투자자는 그리 많지 않다. 인간의 수명과 관련된 기술인만큼 꾸준한 관심과 수요는 물론이고, 노령인구 증가로 인해 중요성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제약/바이오 관련 리서치를 진행하고 관련 잡지도 발행하는 'contractpharma'에 따르면 미국의 '바이오테크' 분야의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개별 바이오주식에 투자하기에는 공부할 분량도 너무 많고 전문적인 지식이 필수적이라 한계가 있다. 게다가 바이오주식의 특성상 재무제표가 건전하지 못하거나 변동성이 지나치게 큰 경우도 많다. 이럴 때는 우량한 여러 바이오주식에 분산투자하는 ETF가 좋은 투자대안이될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꾸준한 성과를 보여주고.. 2021. 8. 31.
ETF 이야기 - 미래에셋 TIGER ETF 3년 수익률 1위 'TIGER 소프트웨어'(FEAT. NAVER, 카카오) 2021.05.31 - [자본주의 바라보기/ETF 이야기] - ETF 이야기 - 미래에셋자산운용 액티브의 ETF Tiger' 글로벌 BBIG, 퓨처모빌리티' 주식 시장에서 노련한 투자자에게 '변동성'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변동성이 큰 주식은 낙폭이 클 수 있지만 반대로 상승할 때는 시원하게 올라주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제 막 주식을 시작한 투자자에게 '변동성'은 위험에 더 가깝다. 자신만만하게 주식 시장에 진입했지만 막상 큰 하락을 한 번 경험하고 나면, 주식 투자가 쉽지 않다는 것을 비로소 깨닫게 된다. 변동성을 줄이고 'Buy and Hold' 전략을 구사하기에 가장 좋은 투자처는 바로 'ETF'다. 원화자산과 달러자산에 적절히 분배해서 투자해두면 위험성을 줄이고 꾸준히 우상향하며 자산.. 2021. 8. 24.
ETF 이야기 - S&P500 못지 않은 대만 시장에 투자해보고 싶다면 'EWT' (Feat. TSMC) 우리나라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경쟁사로 자주 업급되는 TSMC는 대만의 반도체 기업이다. 국내 투자자들에게 대만이라는 국가는 TSMC로 각인돼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전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에다가 언제나 삼성전자보다 앞서가는 듯한 기사가 자주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비메모리 파운드리 기업으로서 TSMC는 삼성전자보다 유리한 고지에 있다. 기술력도 그렇고 산업의 구조상도 그렇다. 삼성전자는 스스로 반도체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사업도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사들이 자신들의 기술유출을 우려해 반도체 제작을 맡기기 꺼려한다. 반면에 TSMC는 오로지 파운드리사업에만 올인하여 그런 우려가 적다. 나 또한 삼성전자에 일부 투자하고 있는 주주긴 하지만 경쟁사에 대해서 공부하고 일부 헷지수단으로 .. 2021.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