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ETF 이야기306 ETF 이야기 -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성장성을 보이는 기업에 투자하는 고퀄 ETF 'QUAL' 최근 미증시가 1%가 넘게 하락하면서 국내 증시 또한 좋지 않은 흐름을 보였다. 다행이도 오늘은 미증시 반등과 함께 코스피와 코스닥도 좋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증시가 흔들리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가장 먼저 '인플레이션 우려', '코로나 재유행' 등과 같은 요인들이 떠오를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 근본적인 이유에는 경기 회복 모멘텀이 정점을 이뤘다는 뜻의 일명 '피크아웃'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 쉽게 얘기해서 '피크아웃'은 오늘이 가장 좋고 내일부터는 경기가 안좋아질 일만 남았다는 뜻이다. 주가는 미래의 성장성을 바탕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피크아웃'이 사실이라면 '인플레이션'이나 '코로나'보다 증시에 훨씬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피크아웃' 우려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줄 수 있는 일명.. 2021. 7. 22. ETF 이야기 - S&P500의 ESG 중심 투자 ETF 도이치방크의 'SNPE' 책임투자란? :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에서는 환경·사회·지배구조를 투자 의사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위험 관리와 지속가능한 장기 수익을 달성하는 것을 책임투자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출처 : 피델리티자산운용 2018년 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REVIEW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매년 전세계 국가의 책임투자 금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책임 투자란 ESG를 투자 의사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장기 수익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특히 ESG 중 E(Environment)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지속 가능한 개발, 지속가능한 경영이 투자세계에서 화두가 되고 있다. ※또 다른 ESG ETF와 영구동토층이 궁금한 투자자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ESG를 기반으로 .. 2021. 7. 20. ETF 이야기 - 청정에너지 회사에 동일비중으로 투자하는 ETF'PBW' (Feat. EU 가솔린 신차판매 금지) EU 집행위는 2021년 7월14일 세계 첫 탄소국경세 제안을 공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그밖에 2035년부터 EU내 신규 휘발류/디젤 차량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방안 또한 제안했다고 한다. 전세계는 탄소배출에 영향을 주는 에너지사용을 줄이고 전기차(EV)로의 대전환을 시작하는 시점에 와있다. EU 친환경 정책 - 2035년부터 EU내 신규 휘발류/디젤 차량판매 사실상 금지 제안 - 2050년까지 탄소중립국 -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55% 감소 - 2021년까지 전기차 105만대 등록예상 친환경정책은 지금 당장 돈이 되지 않는다고 무시할만한 이슈는 아닌 것 같다. 전세계의 친환경 기조는 거부할 수 없는 큰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투자자로서 이러한 큰 변화를 그냥 지나쳐서는 안된다. 어떤 식으.. 2021. 7. 16. ETF 이야기 - S&P900의 고배당 ETF 'GBDV' (Feat, SPHD) 투자를 시작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제적 자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 노동소득만으로는 은퇴 후 삶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투자소득을 늘려서 일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 수익률이 높을 수록 경제적 자유라는 목표에 더 빠르게 가까워질 수 있다. 하지만 '투자 수익'만으로는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없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서는 '배당', '월세'와 같은 수동적소득(Passvie Income)이 필수적이다. 현금흐름이 있어야 여유롭게 투자도 할 수 있고 생활에 지장이 없다. '월세'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꽤나 큰 시드머니가 필요하다. 하지만 '배당수익'은 많은 돈이 필요 없다. 적은 금액으로도 수동적소득(Passvie Income)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 2021. 7. 14.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