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주식108

ETF 이야기 - 바이든의 인프라 투자 수혜 ETF 'IFRA, PAVE' 지난 1월 14일 바이든의 정책 기조에 수혜를 받을 만한 ETF를 소개한적이 있다. 그중에 특히 인프라 관련 ETF인 'RGI'가 이후 꽤나 좋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헌데 최근 인프라 관련 ETF들의 모멘텀을 더욱 강화시켜줄만한 바이든의 2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발표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바이든 정책 수혜 ETF 관련글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블루웨이브 수혜 ETF 3탄 인프라, 기술주'RGI, FXL' (Feat.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 추천) 물론 바이든이 발표한 투자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공화당과의 협의 등 아직 갈길이 조금 더 남은 듯하다. 그럼에도 바이든의 정책기조상 인프라 관련 투자를 늘리려는 시도는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관련 기사에 항상 귀를 기울일 필요는 있다.. 2021. 4. 6.
ETF 이야기 -미국 빅테크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ETF 'IYW' (Feat, 바이든의 법인세 증세) 지난 2020년 10월경 바이든이 당선되면 법인세 인상 충격으로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흔들릴 수 있다는 기사들이 다수 쏟아져 나왔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기업의 매출에서 법인세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가도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특히 경제 관련 기사들은 끝까지, 반드시 끝까지 다 읽어봐야한다. '바이든 당선되면 IT공룡 흔들릴까'라는 제목의 연합뉴스 기사의 마지막 문단을 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다고 해서 반드시 'IT 대형주가' 주춤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는 것이다. 본문 대부분의 분량이 바이든 증세로 미국의 IT 대형주가 주춤할 가능성이 높다는 기사를 쓰고 마지막에 이와는 정반대의 내용이 적혀 있다. 사실 주식과 경제라는 것이 그.. 2021. 4. 1.
ETF 이야기 - 금리인상으로 성장주가 부담스럽다면 미국 가치주 ETF에주목해보자 'IJS , RPV' 금리 인상이 '성장주'에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성장주는 기본적으로 대규모 투자가 뒷받침 돼야 한다. 헌데 투자라는 것에는 이자가 붙기 마련이다. 만약 이자가 비싸진다면 당연히 투자금에 대해 돌려줄 돈이 많아지기 때문에 성장주에는 안좋을 수 있다. 반면에 가치주는 꾸준히 돈도 잘 벌고 이미 가진것이 많은 회사지만 미래의 성장성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많은 대규모 투자를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금리 인상에 강한 편이다. ↓성장주와 가치주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사람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이제는 가치주에 주목해볼 차례? (저평가 가치주 ETF VLUE) 물론 금리인상은 경기 회복의 신호가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적이 뒷받침된다면 금리 인상 초기 국면에만 주가가 하락하고 .. 2021. 3. 29.
ETF 이야기 - 기저효과로 인한 실적 개선을 기대해볼 만한 임의소비재 ETF 'XLY' 최근 증권관련 레포트나 기사를 읽다보면 '기저 효과'라는 용어가 심심치 않게 들린다. 기저 효과는 비교 기준으로 삼는 시점에 따라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증권사 레포트에서는 주로 코로나 사태로 매출에 타격을 입은 회사들이 코로나 사태가 점차 해결됨에 따라서 실적이 상대적으로 좋게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임의소비재회사(경기민감주)들이 이에 해당된다. 코로나 사태로인해 타격을 받기 쉬운 의류, 식음료, 자동차, 유통 회사들이 대표적인 임의소비재 회사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미국의 대표 임의 소비재 회사들을 모아놓은 ETF인 'XLY'에 대해 공부해봤다. 미국의 대표적인 임의소비재 회사를 모아둔 ETF 'XLY' XLY는 대표적인 S&P50.. 2021.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