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182

이번 하락장에서 배운 것들과 잊지말아야 할 것들 최근 며칠 사이에 코스닥은 고점대비 약 20%, 코스피는 고점대비 약 15%의 하락을 겪었다. 미국주식 계좌의 경우 대부분이 초장기 투자 종목이고 방어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다보니 생각보다 큰 타격은 없었지만 국내주식 계좌는 큰 타격을 입었다. 계좌성격 화폐기준 계좌비중 운용방식 올웨더 포트폴리오 계좌 달러+현지화 50% 패시브 미국 가치주 및 배당주 ETF 달러 20% 패시브 국내 대형주 중심 장기투자 계좌 원화 20% 액티브 국내 중소형주 스윙 계좌 원화 10% 액티브 참고로 나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좌를 운용하고 있다. 계좌간 운용 방식은 이렇다. 액티브하게 국내 계좌를 운용해서 발생한 추가 수익을 달러로 환전해서 해외 계좌로 옮기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패시브 투자를 선호하긴 하지만 패시브 투.. 2022. 2. 3.
ETF 이야기 - 기업의 펀더멘털을 중심으로 투자하는 ETF 'FNDX' 기업의 펀더멘털을 기업의 '기초체력'이라고 설명한다.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이라고 하면 재무제표가 훌륭하고 경제적 해자가 단단한 기업을 의미한다. 주식시장이 호황이고 모든 주식들이 상승할 때 우리는 기업의 펀더멘털에 대한 중요성을 잊게된다. 이때는 '펀더멘털'보다는 테마와 수급에 의해 주가가 결정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누가 알몸으로 수영하고 있었는지는 썰물이 되어서야 비로소 알 수 있다.” 투자의 전설 '워렌버핏'이 주주서한에서 말한 것처럼 거품이 걷히고 나서야 펀더멘털의 중요성을 깨닫게 될때가 많다. 필자 또한 최근 주식 시장의 큰 조정을 겪으면서 이럴 때일수록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에 비중을 실어야 마음도 편하고 계좌의 방어도 좋아진 다는 것을 크게 느끼게 됐다. 그래서 오늘은 재무가 우.. 2022. 1. 28.
반대매매로 살펴본 증시의 바닥찾기(반대매매가 쏟아지면 증시는 반등할까?) 최근 주식 시장의 끝모를 하락으로 반대매매가 속출하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의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지수가 하락하면 매수하고, 지수가 상승하면 매도하는 패턴이 일반적이다. 그러다 가끔씩 특정 시간에 개인들의 매도가 쏟아지는 경우가 포착되는데 이는 반대매매로 인한 하락인 경우가 많다. 반대매매는 보유중인 주식 물량을 최저가로 매도해버리기 때문에 주가 하락을 더욱 가속화시킨다. 얄굿게도 이러한 반대매매가 쏟아지고 나서야 증시가 반등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의도적으로 신용 비중이 많은 주식에 공매도를 하여 반대매매를 유발해 더 큰 수익을 내려는 기관, 외국인 투자자들의 전략 때문이다. 흔히들 개미들이 팔지 않으면 주가는 절대 상승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러한 케이스를 많이 봐왔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반대매매란 무.. 2022. 1. 27.
ETF 이야기 - 러시아 RTS지수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ETF 'RSX' '러시아'에 한번도 가본적이 없고, 러시아에 대해 공부를 깊게 해본적도 없어서 그런지 '러시아'라는 단어를 듣게 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푸틴'과 러시아 전통인형 '마트료시카'가 전부다. 그런데 최근에는 '우크라이나'라는 단어도 함께 떠오르게 됐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수 있다는 뉴스들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미국과 러시아간의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연준의 긴축이슈 때문에 가뜩이나 주식 시장이 좋지 않은데 미/러간의 갈등 소식은 주식 시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시장을 긍정적으로 보는 투자자는 미/러간에 세계 대전 수준으로 커지지만 않는다면 이정도의 갈등으로는 증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면 시장을 부정적으로 보는 투자자는 금리인상과 더불어 미/러 갈등의 고조화로 .. 2022.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