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246 ETF 이야기 - AI켄쇼가 구성하는 청정에너지 ETF 'CNRG' CNRG는 친환경에너지와 관련된 기업에 투자한다. CNRG가 다른 친환경 ETF들과 다른점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주체가 'AI'라는 점에 있다. 그 'AI'의 이름은 바로 '켄쇼'다. 켄쇼에 대한 설명은 이전의 글에서 이미 언급한 적이 있어서 이번 글에서는 따로 언급하지는 않겠다. 결론적으로 오늘 CNRG에 대해 공부해본 이유는 CNRG가 미래의 성장성이 담보될만한 매력적인 구성요소가 많은 ETF이기 때문이다. AI와 친환경이라는 소재는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라고 생각한다. 서론은 이쯤으로 하고 바로 상세 ETF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켄쇼와 켄쇼의 대표 ETF 'Komp'에 대해 궁금하신 투자자는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ETF 이야기 - 천재 AI 켄쇼의 워렌이 구성하.. 2021. 9. 27. ETF 이야기 - 미국에서 가장 큰 1000대 기업에 투자하는 'IWB' '미국 빅테크'라는 단어로 구글에 검색을 해보면 가장 눈에 띄는 키워드는 '규제'다. 최근 국내 시장도 규제 이슈로 카카오,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 기업들의 주가 흐름이 좋지 않다. 그럼에도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성은 지속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단기적으로는 주가흐름이 좋지 않을지라도 장기적인 시각에서 보면 결국 우상향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빅테크기업의 성장성이 꺾이게 될지 아니면 장기적으로 다시 성장을 지속할지는 사실 아무도 알 수 없다. 그저 투자자의 개인적인 성향과 생각에 따라 방향을 정하면된다. 오늘 공부해볼 'IWB'는 빅테크 기업의 성장성에 베팅하는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ETF다. IWB는 러셀지수에 포함된 시총규모 상위1000개 기업에 투자한다. 미국 1000대 대기업에 투자하는 ETF 'IWB.. 2021. 9. 24. ETF 이야기 - 미국 중형주에 투자하는 두개의 ETF 'IJH, VO' 미국의 빅테크 규제 리스크가 점점 수면위로 올라오고 있다. 미국 빅테크 기업의 대표, 전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과 에픽게임스 간의 소송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법원이 에픽의 손을 들어주면서 빅테크 기업의 규제 신호탄이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많다. 물론 미국은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국가로 단순히 규제 이슈만으로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추락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오히려 저점매수의 기회로 보는 시각들도 많다. 그럼에도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라는 말이 있듯이 일단은 빅테크 기업의 포트 비중을 유지 또는 축소 시켜놨다가 리스크가 잠잠해지면 다시 채워넣는 방식이 좀더 안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그래서 오늘은 대형주보다는 중형주에 투자하는 ETF 2개를 서로 비교 분석해봤다. 전세계 1.. 2021. 9. 14. ETF 이야기 - 미국 제외 선진국 시장에 투자하는 ETF 'SCHF'(Feat. 삼성전자, 미국 증시리스크) 최근 미국의 주가지수 흐름이 그리 좋지 않다. 견고한 흐름을 보여주던 S&P500 지수, 나스닥, 다우지수 모두 4일연속 음봉으로 마감하면서 중요한 지지선을 향해 움직이고 있다. S&P500지수의 경우 20일 선을 깨고 60일선을 지지해주지 못한다면 큰 증시의 조정이 있을 수도 있다. 다우존스는 이미 60일선을 깨서 120일선에서 의미 있는 지지가 나오지 않는다면 위험한 지점이될 수 있다. 나스닥은 아직까지 20일선위에서 버티고 있으니 다른 지수들보다는 강한 편이긴 하다. 주가가 왜 조정을 받고있는지 원인을 찾자면 끝도 없다. 사실 모두 결과론적인 얘기일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거론되고있는 이유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주가가 많이 올라서 차익실현 하는 것이다. 2. 경제지표가(물가지수, .. 2021. 9. 13.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