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ETF 이야기306

ETF 이야기 - 우크라이나 침공이 불러온 곡물값 폭등 수혜 ETF 'VEGI'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모두 전세계 농업과 식량 생산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농장물의 성장을 돕는 비료 생산에서 핵심 성분인 탄산칼륨과 인산염은 러시아에서 대규모로 생산된다. 이런 탓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세계 식량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는 위기론이 퍼지고 있다. 글로벌화 돼 있는 현 시장환경에서 특정국가의 분쟁과 전쟁은 국지적으로 끝나기 어렵다. 모든 세계경제가 거미줄처럼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의 경우에는 국제 정세에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투자자로서 항시글로벌 뉴스에도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증시상황과는 별개로 많은 무고한 사람들의 생명이 달려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반드시 빠르게 종료돼야 한다. 그럼에도 냉정하게 들릴 .. 2022. 3. 22.
ETF 이야기 - 미래에셋 증권의 전세계 보안 ETF 'BUG' 최근에는 계속해서 보안관련 ETF들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미 자주 언급한 바 있기 때문에 반복하지는 않겠다. 간략하게 얘기하자면 미래 산업에 핵심이 될 가능성이 높은 보안산업에 대해 공부하고 주가 조정이 있을때마다 모아갈 만한 ETF를 찾고 있기 때문에 공부하고 있다. 오늘은 미래에셋 글로벌의 'BUG'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백테스트 결과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생각보다 성과가 준수한 편이다. 상세한 내용은 ETF.com에서 살펴봤다. 시가총액 가중치에 따라 전세계 보안기업에 투자하는 ETF 'BUG' BUG는 시스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컴퓨터 및 모바일 장치에 대한 침입 및 공격을 방지하는 보안 프로토콜의 개발 및 관리와 관련된 회사에 대한 노출을 제공합니다. 적격 증권은.. 2022. 3. 21.
ETF 이야기 -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업에 투자하는 나스닥 사이버보안 ETF 'CIBR' S&P500지수 대비 최근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산업의 섹터는 사이버보안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사이버 보안 쪽 ETF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있다. 이미 많은 상승을 냈기 때문에 지금 투자하는 것은 다소 리스크할 수 있겠지만 충분한 가격조정이 발생한다면 그때 다시 관심을 갖고 투자해볼 수 있기 때문에 미리 공부를 하고있다. 오늘 공부할 'CIBR'이외에도 글 하단에는 "HACK, WCBR, TIGER 글로벌사이버보안 INDXX" 등 다른 사이버 보안 ETF에 대해서 공부한 링크가 있으니 참조해주기를 바란다. 자 그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미국 나스닥 사이버 보안 ETF 'CIBR' CIBR은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에 의해 분류된 사이버 보안 회사에 .. 2022. 3. 18.
ETF 이야기 - 전세계 전기차 및 자율주행 기업에 투자하는 ETF'CARZ'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리스크와 인플레이션 우려감으로 전세계 증시가 지속적인 조정국면에 있다. 특히 자율주행, 전기차와 같은 성장주는 더 큰 조정을 받고 있다. 미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많이 상승했는데 전쟁과 인플레이션 리스크로 미래의 성장성에 의문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기차와 자율주행자동차로의 변혁은 이미 시작되고 있고 중단기적으로 리스크가 있더라도 큰 흐름에서 보면 해당 분야는 성장할 수밖에 없는 산업이라고 생각한다. 큰 흐름에서 투자하는 투자자라면 서서히 분할매수를 시작해도 되는 시점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개별종목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고 산업전반에 투자하하고 싶다면 ETF가 가장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개별 종목에 대한 리스크를 줄여줄 수 .. 2022.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