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주의 바라보기830

미국 주가 지수 쉽게 알아보자 : S&P500, 나스닥, 다우지수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미국 증시가 2년만에 최대 폭락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이 생각보다 막대하여 세계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 같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해외 경제 기사를 보다보면 항상 등장하는 용어가 있다. 그것은 '다우지수, 나스닥, S&P 500'이다. 이게 무슨 소리인지 어렴풋이 알 것 같긴한데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다. 그래서 정리해봤다. 다우지수 뉴욕 주식 시장의 평균 주가 지수를 구성하는 상장 종목 중에서 일부 우량주만을 선정하여 산출하는 지수. 가장 오래된 주가 지수 산출 방식으로 1884년 7월, 미국의 다우존스 사(DowJones社)에 의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공업주 30종목, 철도주 20종목, 공공주 15종목의 평균과 총 65종목 평균이 있는데,.. 2020. 2. 25.
부동산 이야기 - 법인 : 도대체, 법인이 뭐길래? 정부가 부동산투기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그 영향으로 경제 카테고리의 기사에는 어김 없이 부동산 관련 기사들일 올라온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각종 세금 규제와, 대출규제를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일 부 서울집값은 안정세에 들었다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요리조리 법망을 피해가며 부동산 투자를 계속 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이런 부동산 투자자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것이 법인 설립이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겼다. 도대체 법인이 뭘까? 법인이 뭐길래 세금 혜택을 받고 개인에 비해 유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는 것일까. 먼저 법인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자. 법인이란?(juridical person, 法人) 자연인이 아니면서 법에 의하여 권리 능력이 부여되는 사단과 재단. 법률상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2020. 2. 24.
펀드, ETF, 인덱스펀드가 뭐지? '에임'이라는 ETF을 주력으로 투자하는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설명하다가 ETF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주식이나 금융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알고 있겠지만 나처럼 무지한 사람들을 위해 공부도할 겸 설명해보려고 한다.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애썼으나 내용이 좀 어려울 수 있으니 감안하고 봐주길 바란다. 상위 1%자산관리 에임? 배당? 포트폴리오? 그게뭔데? 요즘 심심치않게 이 광고문구를 보고 듣게 된다. "상위 1%의 자산관리 에임을 당신에게". 근데 뭐가 상위 1%라는 것일까. 에임대표 이사가 그렇다는 소리다. 자세히 보면 아래 깨알 같은 글자로 설명이 나온다... free00life.tistory.com ※이 글은 내가 지난번에 배당,에임,포트폴리오 등에 대해 설명한 글이니 참조 ETF가.. 2020. 2. 20.
상위 1% 자산관리 앱 에임(AIM)? 배당? 포트폴리오? 요즘 심심치않게 이 광고문구를 보고 듣게 된다. "상위 1%의 자산관리 에임을 당신에게". 근데 뭐가 상위 1%라는 것일까. 에임대표 이사가 그렇다는 소리다. 자세히 보면 아래 깨알 같은 글자로 설명이 나온다. "운용자산 규모와 영향력에서 세계 최상위 투자자로 분류되는 기관투자자로 에임 대표이사는 아카디안에서 6년간 재직하며 해당 자산을 운용함." 아무튼 뭐 어마어마하게 천재적인 자산투자자가 운영하는 '에임'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하게되면 어마어마한 알고리즘과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배당수익을 받을 수 있다는 소리의 광고다. 진짜인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나는 그냥 바라보고 공부할뿐. 그렇다면 여기서 진하게 표기한 알고리즘, 포트폴리오, 배당수익이 뭔소리일까. 이미 주식이나 펀드투자에 대해 빠삭한 사람이라면 .. 2020. 2. 18.
반응형